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250x250
«   2025/04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Archives
Today
Total
250x250
관리 메뉴

안뇽

[Study##6] 문자열 및 연산자 본문

개발소발/Python

[Study##6] 문자열 및 연산자

Domni 2021. 3. 4. 15:02
728x90
728x90

 

str1 = "I am boy."
str2 = "Niceman"
str3 = ' '
str4 = str('ace')

print(len(str1), len(str2), len(str3), len(str4))

escape_str1 = "Do you have a \"big collection\""
print(escape_str1)
escape_str2 = "Tab\tTab\tTab"
print(escape_str2)

# Raw String
raw_s1 = r'C:\programs\Test\Bin'
print(raw_s1)
raw_s2 = r"\\a\\a"
print(raw_s2)

# 멀티라인
multi = \
"""
멀티 
라인 
테스트
"""
9 7 1 3
Do you have a "big collection"
Tab     Tab     Tab
C:\programs\Test\Bin
\\a\\a

멀티
라인
테스트

문자를 선언 후

len 함수 즉, 문자수를 알아보기 위해 출력을 해보았다.

print(len(str1), len(str2), len(str3), len(str4)) 이런 식으로

1번 같은 경우는 공백을 포함하여 글자 수를 출력한다.

그렇다면 3번처럼 빈 공간을 냅둬도 역시 1이라는 출력값이 나온다.

4번처럼 형변환을 해서 넣어도 글자수를 출력 !!

파이썬 에서는 1번과 2번처럼 출력하는것을 많이 선호한다고 하니 참고!!

 

# escape

다음은 escape 구문인데 출력값에 " " 를 표시 하고 싶을때...

\"로 시작을하고 \" 로 끝을내어 표시할 수 있음 !!

즉 "big collection"을 출력값에 표시하고 싶다면 \"big collection\" 를 입력하면 된다.

 

# Raw String 

주로 경로를 표시할때 많이사용한다.

소문자 r로 시작하여 따옴표로 선언하면 된다.

\를 써도 raw string을 쓰면 있는 그대로 출력!!

 

# 멀티라인

multi = \

라는 선언을 한 후 큰 따옴표로 문자를 입력한 뒤, 줄바꿈을 해도그대로 출력이된다...

즉, 멀티라인이란 이 라인 다음의 내용이이어진다고 파이썬한테 알려주는 격이다...

변수선언 후 \ 라는 기호가 나오면 다음줄에 이어진다고 이해하면 된다!!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# 문자열 연산
str_o1 = '*'
str_o2 = 'abc '
str_o3 = 'def'
str_o4 = 'niceman'

print(str_o1 * 100)
print(str_o2 + str_o3)
print(str_o1 * 3)
print('a' in str_o4)
print('f' in str_o4)
print('z' not in str_o4)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abc def
***
True
False
True

# 문자열 연산

말그대로 더하기, 빼기, 곱하기 등이 가능하다.

in 이나 not in 연산자는 해당 단어를 포함하냐 안하냐를 물어본것..!!

a는 True 즉, niceman 안에 있기때문에 참 값이 출력된다.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# 문자열 형 변환

print(str(77) + 'a')
print(str(10.4))
77a
10.4

# 문자열 형 변환

만약 print(77+ 'a') 처럼 문자와 숫자들 더했다면 에러가 출력이 되겠지만

print(str(77)+'a')라고 숫자를 문자로 형변환 후 출력을 하면 77a 처럼 출력이 가능하다.

즉, str로 숫자라는 type을 문자로 변환시켜준 것이다.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a = 'niceman'
b = 'orange'

print(a[0:3])
print(a[0:4])
print(a[0:len(a)])
print(a[0:len(a)-1])
print(a[:4])
print(a[:])

print(b[0:4:2])
print(b[1:-2])
print(b[::-1])
nic
nice
niceman
nicema
nice
niceman
oa
ran
egnaro

# 인덱싱

문자의 앞쪽에는 문자 각각의 해당하는 번호가 존재한다.

예를 들면, niceman 이라는 단어가 있다면

(0)n(1)i(2)c(3)e(4)m(5)a(6)n이런식으로 번호가 존재한다.

a = 'niceman' 선언 후print(a[0:3])이라는 출력문을 보면 nic만 출력된다.

즉, 0번부터3번까지의 문자만 출력하라는 의미이다

(0)n(1)i(2)c(3)

0번부터의 문자에서부터 3번 앞에 해당하는 문자까지 출력된다.

역으로 출력하고 싶다면

print(b[::-1]) 처럼 출력을 하면 문자의 역순으로 출력된다.

 

728x90
320x100
Comments